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귀갓길 vs 귀가길: 헷갈리는 사이시옷 완벽 정리

by 눌레 2025. 2. 13.
728x90
300x250

 

 

 

귀갓길 vs 귀가길 – 헷갈리는 사이시옷 완벽 정리

“귀갓길”과 “귀가길”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이 문제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답은? → 귀갓길(O) / 귀가길(X)

올바른 표현은 귀갓길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귀갓길"이 맞는 표현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2. 왜 "귀갓길"이 맞을까? (사이시옷 규칙)

“귀갓길”은 한자어(귀가) + 고유어(길)의 조합입니다. 이런 경우, 사이시옷을 넣어야 합니다.

✅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

  • 앞 단어가 한자어라도, 뒤 단어가 순우리말이면 사이시옷을 사용
  • 예: **수돗물, 전셋집, 빨랫비**

🚫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

  • 외래어 + 고유어 조합 (예: "커피잔")
  • 순수 한자어 조합 (예: "등산로")

3.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다양한 사례

유형 올바른 표현 잘못된 표현 설명
고유어 + 고유어 뱃길 배길 배(고유어) + 길(고유어) → 사이시옷 필요
고유어 + 고유어 빨랫줄 빨래줄 빨래(고유어) + 줄(고유어) → 사이시옷 필요
한자어 + 고유어 전셋집 전세집 전세(한자어) + 집(고유어) → 사이시옷 필요
한자어 + 고유어 수돗물 수도물 수도(한자어) + 물(고유어) → 사이시옷 필요
예외 (외래어 포함) 커피잔 커핃잔 외래어(커피) + 고유어(잔) → 사이시옷 X

4. 맞춤법 검사 꿀팁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하여 표준어 여부 확인
  2.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활용하여 철자 검사
  3. 우리말샘 앱에서 실시간 검색
728x90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귀가길”도 틀린 말인가요?

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비표준어**입니다. 공식 문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Q2. 사이시옷을 넣을지 말지 헷갈릴 때 쉽게 판단하는 방법은?

“앞말이 한자어, 뒷말이 순우리말이면 사이시옷을 넣는다”라는 원칙을 기억하세요.

Q3. 문학 작품에서 '귀가길'을 써도 되나요?

창작물에서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비표준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공식 문서나 시험에서는 반드시 '귀갓길'을 사용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