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146 늘리다 vs 늘이다: 길이를 늘이고 인원을 늘렸다 늘리다 vs 늘이다: 의미와 사용법을 제대로 이해하자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늘리다'와 '늘이다'입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헷갈리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늘리다'늘리다'는 양이나 크기, 수량 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수나 양을 증가시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양이나 수를 증가시키다예시: "학생 수를 늘리다." — 학생의 수를 증가시키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설명: '늘리다'는 양이나 수를 늘리는 행위를 나타냅니다.범위나 영역을 확장하다예시: "사업을 해외로 늘리다." — 사업의 범위를 해외로 확장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설명: '늘리다'는 범위나 영역.. 2024. 7. 2. 곤욕 vs 곤혹: 곤욕을 치러 곤혹스럽다 곤욕 vs 곤혹: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자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곤욕'과 '곤혹'입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헷갈리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곤욕'곤욕'은 심한 모욕이나 치욕을 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심리적, 감정적으로 큰 상처를 입을 때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심한 모욕, 치욕예시: "그는 대중 앞에서 곤욕을 당했다." — 많은 사람들 앞에서 큰 모욕을 당한 상황을 의미합니다.설명: '곤욕'은 심한 모욕이나 치욕을 당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공적인 자리나 많은 사람들 앞에서의 모욕을 나타냅니다.치욕스러운 상황예시: "그 사건으로 인해 큰 곤욕을 치렀다." — 그 .. 2024. 7. 2. 결재 vs 결제: 결재를 받고 결제를 완료하다 결재 vs 결제: 승인과 지불의 정확한 구별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결재'와 '결제'입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결재'결재'는 문서나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직장이나 기관에서 상급자가 하급자의 요청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승인하다, 허가하다예시: "부장님께 결재를 올렸다." — 부장님께 문서나 안건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한 상황을 의미합니다.설명: '결재'는 상급자가 문서나 안건을 승인하거나 허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문서를 검토하다예시: "결재를 받기 위해 서류를 제출했다." — 문서를 상.. 2024. 7. 2. 좇다 vs 쫓다: 꿈을 좇아 도둑을 쫓다 좇다 vs 쫓다: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 올바르게 사용하자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좇다'와 '쫓다'입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좇다'좇다'는 어떤 목표나 대상을 따라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이상이나 목표, 스승의 가르침 등을 추구할 때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따라가다, 추구하다예시: "그는 자신의 꿈을 좇아 해외로 떠났다." — 자신의 꿈을 추구하여 해외로 간 것을 의미합니다.설명: '꿈을 좇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그 길을 따라간다는 의미입니다.경청하다, 따르다예시: "제자의 가르침을 좇아 열심히 공부했다." —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는.. 2024. 7. 1. 등살 vs 등쌀: 등살이 늘어 등쌀을 견디기 힘들다 등살 vs 등쌀: 헷갈리는 표현, 정확히 구별하자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 중 하나가 '등살'과 '등쌀'입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등살'등살'은 등 부분의 살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는 말로, 주로 육체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신체의 살예시: "운동을 해서 등살이 많이 빠졌다." — 운동을 통해 등 부분의 살이 줄어든 것을 의미합니다.설명: '등살'은 신체의 등 부분에 있는 살을 뜻합니다. 다이어트나 운동으로 살이 빠질 때, 특정 부위의 살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비유적 사용예시: "옷이 너무 작아서 등살이 튀어나왔다." .. 2024. 7. 1. 바치다 vs 받치다 vs 받히다: 혼동하지 말고 제대로 사용하자 바치다 vs 받치다 vs 받히다: 혼동하지 말고 제대로 사용하자한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치다', '받치다', '받히다'입니다. 이 세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헷갈리기 쉽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이 세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바치다'바치다'는 어떤 물건이나 마음을 남에게 드리거나 내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헌납, 기부, 또는 존경의 뜻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의미와 예시헌납하다예시: "그는 평생을 나라에 바쳤다." — 자신의 삶을 나라에 헌신한 것을 의미합니다.설명: '평생'을 '나라'에 드렸다는 의미로, 자신의 삶 전체를 국가에 바친다는 뜻입니다.제공하다예시: "그는 모든 재산을 자선단체에 바쳤다." — 자신의.. 2024. 7. 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