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 괜스레 vs 괜시리: 이유 없이 드는 감정을 표현할 때 괜스레 vs 괜시리: 이유 없이 드는 감정을 표현할 때 목차헷갈리는 이유'괜스레'의 어원과 의미'괜시리'가 틀린 이유자주 틀리는 경우올바른 사용법'괜스레'와 '괜시리', 두 표현 중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헷갈리는 이유발음이 비슷해서 혼동됩니다구어에서 자주 쓰다 보니 잘못된 표현이 굳어졌습니다방언처럼 여겨져 혼란이 생기기도 합니다2. '괜스레'의 어원과 의미[어원]'괜-': 관계없이, 까닭 없이를 뜻하는 접두사'-스레': '-스럽게'의 준말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두 형태소가 결합해 '까닭 없이 저절로'라는 의미가 됨[의미와 용법]"까닭 없이 저절로"라는 뜻을 가진 부사입니다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는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할 때 씁니다자연스럽게 일어나는 .. 2024. 11. 14. 로서 vs 로써: 자격과 도구/수단을 구분해서 써보자 로서 vs 로써: 자격과 도구/수단을 구분해서 써보자목차헷갈리는 이유'로서'의 의미와 용법'로써'의 의미와 용법자주 틀리는 경우쉽게 구별하는 방법많은 사람들이 '로서'와 '로써'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헷갈리는 이유발음이 같아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둘 다 '-로'가 들어가서 더욱 헷갈립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쓰이는 것 같아 보입니다2. '로서'의 의미와 용법자격이나 신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의 자격으로'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어떤 위치나 신분을 강조할 때 씁니다[로서 사용 예문]선생님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학생으로서 해야 할 일이 있다부모로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다팀장으로서 의견을 말하고 싶다3. '로써'의 의미와 용법도구나 수단을 나타낼 때.. 2024. 11. 13. 웃돈 vs 윗돈: 올바른 표현과 사용법 알아보기 웃돈 vs 윗돈: 올바른 표현과 사용법 알아보기목차헷갈리는 이유'웃-'과 '윗-'의 차이올바른 사용법과 예시자주 틀리는 경우쉽게 구별하는 방법'웃돈'과 '윗돈'은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여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부동산이나 중고거래에서 자주 사용되는 만큼 정확한 표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헷갈리는 이유'웃-'과 '윗-'의 발음이 비슷합니다'위'와 관련된 의미라서 '윗-'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다 보니 잘못된 표현이 굳어지곤 합니다비슷한 단어들(웃어른/윗어른)도 많아 더욱 헷갈립니다2. '웃-'과 '윗-'의 차이'웃-'의 의미기준이나 정도를 넘어서는 것을 나타냅니다더 높은 위치나 신분을 나타낼 때도 씁니다초과하거나 더해진다는 뜻을 가집니다'윗-'의 의미물리적으로 위치가 위인 것을 나.. 2024. 11. 12. 그러므로 vs 그럼으로: 앞뒤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어의 올바른 표현 그러므로 vs 그럼으로: 앞뒤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어의 올바른 표현 목차헷갈리는 이유정확한 의미와 용법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자주 틀리는 경우쉽게 구별하는 방법많은 사람들이 '그러므로'와 '그럼으로'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헷갈리는 이유'그러므로'와 '그럼으로'의 발음이 비슷합니다'그럼으로써'처럼 '-써'가 붙으면 올바른 표현이 되어 더욱 헷갈립니다'그럼'이라는 말이 실제로 있어 혼동됩니다단독으로 쓸 때는 '그러므로'가 맞지만, '그럼으로써'도 있어서 구별이 어렵습니다2. 정확한 의미와 용법[그러므로]"그런 까닭에", "그런 이유로"라는 뜻을 가집니다앞뒤 문장의 인과관계를 나타낼 때 씁니다'따라서', '그래서'와 비슷한 의미입니다[그럼으로.. 2024. 11. 11. 내로라하는 vs 내노라하는: 실력자를 뜻하는 표현의 올바른 맞춤법 내로라하는 vs 내노라하는: 실력자를 뜻하는 표현의 올바른 맞춤법 목차'내로라하는'이 올바른 이유자주 틀리는 이유어원과 의미올바른 활용법비슷한 표현들'내로라하는'과 '내노라하는'은 실력자나 내세울 만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내노라하는'으로 잘못 쓰고 있는데, 올바른 표현은 '내로라하는'입니다.1. '내로라하는'이 올바른 이유'내가'와 '~라고'가 결합한 표현입니다."내가 으뜸이라고 하는"이라는 뜻이 줄어든 말입니다.'내+로+라+하다'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2. 자주 틀리는 이유'노'와 '로'의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됩니다.'내놓다'처럼 '노'가 들어가는 단어들과 헷갈립니다.구어로 사용하다 보니 잘못된 표기가 퍼지게 되었습니다.3. 어원과 의미"내가 바로 (실력자)라고 .. 2024. 11. 10. 하라고 vs 해라고: 잘못된 표현 해라고 말하지 말고 하라고 말하자 하라고 vs 해라고: 올바른 표현과 사용법 알아보기 목차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나요?'하라고'의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해라고'가 틀린 이유자주 혼동되는 경우쉽게 구별하는 방법주의할 점'하라고'와 '해라고'는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표현입니다.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나요?'-라고'와 '-자고' 인용문의 활용이 복잡합니다.'하다'의 활용형이 다양하여 혼란스럽습니다.구어에서 자주 틀리다 보니 잘못된 표현이 굳어지고 있습니다.간접 인용문의 올바른 활용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지역에 따라 방언으로 '해라고'를 사용하다 보니 표준어로 오해하기도 합니다.2. '하라고'의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하라고'는 명령형 간접인용.. 2024. 11. 9. 이전 1 2 3 4 5 6 7 8 ··· 34 다음 728x90 반응형